[심규진의 벌거벗은 교육12] 돈과 놀이가 만난 축제, ‘오징어게임’

남정현 기자 | 기사입력 2021/10/05 [16:11]

[심규진의 벌거벗은 교육12] 돈과 놀이가 만난 축제, ‘오징어게임’

남정현 기자 | 입력 : 2021/10/05 [16:11]

 

돈과 놀이가 만난 축제, ‘오징어게임

 

▲ 오징어 게임(넷플릭스 웹드라마) 포스터

 

메를로퐁티(1908~1961)는 무엇을 현상(phénomène)하느냐에 따라서 다른 삶을 살게 된다고 주창했다. 그에 따르면 객관적 실체는 항상 그 자리에 있지만, 우리는, 정확히 내 몸은, 선택적(주관적)으로 실체를 경험하게 된다.

 

우리는 일상에서 종종 부자를 만나고 거의 매일 돈을 접하면서 그것들에 무감각해졌다. 단지 그렇구나’ ‘우아~’ ‘부럽다딱 이 정도가 일반적인 반응이다. 그 이유는 명확하다. 우리는 그들과 같이 될 수 없고, 그 돈은 내 돈이 아니기 때문이다.

 

하지만 내 모든 빚을 탕감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긴다면,

일생에 딱 한 번, 나도 만약 부자가 될 수 있다면,

내가 만약 465억 원을 가질 수 있다면,

 

우리의 지향성(intention)은 오징어게임으로 눈을 돌릴 수밖에 없다. 단순하지만 살벌한 게임 너머로 보이는 환상을 실재(reality)로 경험하고 있다. 그래서 지금 전 세계는 단순히 넷플릭스라는 미디어를 눈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너도 나도 이정재(성기훈 )가 되어 게임에 참여하고 있는 것이다.

 

전 세계인의 관심사인 돈이 한국의 단순한 전통 놀이를 만나 축제가 되었다. 이 축제에 참여하고 싶은, 나를 포함한 수많은 오징어들이 오늘도 환상을 실재로 경험하며 살벌한 재미에 감탄하고 있다. 다가오는 오징어게임 시즌2의 개막 또한 우리의 현상을 자극할 수 있는지 귀추가 주목된다.

  • 도배방지 이미지

광고
교육칼럼 많이 본 기사